반응형
근로·자녀장려금 확대, 왜 빠졌나? 이 정부 첫 세제개편 핵심 정리
저소득층을 위한 대표 복지 제도인 근로·자녀장려금.
지난 3년간 혜택이 크게 확대되며 많은 국민들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곧 발표할 첫 세제개편안에선 이 장려금의 추가 확대가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해당 내용을 핵심만 뽑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근로·자녀장려금, 어떤 제도였나?
근로·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에게 일하거나 자녀를 양육할 때 현금으로 지급하는 복지성 세금 환급 제도입니다.
구 분 | 내 용 |
근로장려금 | 일을 해도 소득이 적은 가구에 지원 |
자녀장려금 | 자녀가 있는 저소득 가구에 추가 지원 |
이 제도는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연 1회 지급되며,
근로장려금은 가구 형태에 따라 최대 330만 원, 자녀장려금은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최근까지의 변화는?
- 2022년 : 재산 요건 2억 → 2억4000만 원으로 상향
- 2023년 : 총소득 기준 4000만 원 → 7000만 원으로 확대
- 2024년 :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 3800만 원 → 4400만 원
이처럼 지난 3년간 꾸준히 기준 완화와 금액 인상이 이뤄졌고, 수혜자와 총지급액도 대폭 증가했습니다.
2022년 총 지급액만 해도 5조 2289억 원에 달했습니다.
🧩 그런데 왜 빠졌나?
정부는 이번 세제개편안에서 근로·자녀장려금 확대안을 제외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미 수혜자가 크게 증가해 재정 부담이 커졌고,
- 세수 여건도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기존 수준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밝혔습니다.
KR제도 유지에는 동의… 확대는 추후 검토?
정부는 이번에는 ‘현행 유지’ 수준으로 방향을 정했지만, 추후 다른 복지안과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만큼, 향후 정치적 부담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 론
- 근로·자녀장려금은 지난 3년간 확대되며 대표적 복지 제도로 자리잡았습니다.
- 하지만 이번 정부의 첫 세제개편안에서는 추가 확대가 빠질 전망입니다.
- 정부는 재정 부담과 세수 상황을 고려해 ‘현행 유지’로 가닥을 잡았고, 향후 종합적인 복지 대책에서 다시 논의될 수 있습니다.
'뉴스·이슈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이슈] 트럼프가 밀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여전히 갑론을박 (0) | 2025.07.23 |
---|---|
[정부 발표] 육아휴직 지원 확대… 하지만 ‘돈줄’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5) | 2025.07.18 |
[정부 발표]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 신청부터 사용, 환수까지 총정리! (1) | 2025.07.16 |
[정부 발표] 2025년 고용보험 개편안 ; 초단기 알바도 실업급여 받는다! (1) | 2025.07.11 |
[정부 발표]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1일부터 지급! (1) | 2025.07.09 |
[정부 발표] 2025년 7월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 전면 시행! (1) | 2025.07.04 |
[정부 발표] 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것들 총정리 ; 예금 보호 1억 상향·헬스비 소득공제 등 주요 변화 체크! (4) | 2025.07.02 |
[정부 발표]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시작! 홈택스·손택스로 간편하게 신청하는 법 총정리 (1)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