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슈/정부정책

[정부 발표] 432조 퇴직연금, 이젠 ‘국민연금처럼 전문 운용’ 추진

by info-search2 2025. 11. 21.
반응형

432조 퇴직연금, 이젠 ‘국민연금처럼 전문 운용’ 추진

퇴직연금 제도가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개인이 직접 투자 상품을 골라 운용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국민연금처럼 전문가가 장기적으로 굴리는 구조(기금형)로 전환하는 방안이 정부와 국회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건데요.
오랫동안 낮은 수익률이 지적돼온 만큼, 이번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정부 발표] 432조 퇴직연금, 이젠 ‘국민연금처럼 전문 운용’ 추진

왜 바꾸려는 걸까?

지금의 퇴직연금은 근로자가 스스로 적립금 운용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문제는 대부분이 예·적금 같은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만 머물러 있다는 점이죠. 자연스럽게 수익률도 낮습니다.

📌 최근 5년 평균 수익률

  • 퇴직연금: 2.86%
  • 국민연금: 8.13%

수익률 차이가 이렇게 크다 보니, “이대로는 안 된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바뀌나?

정부는 퇴직연금을 전문 운용기관이 대신 굴리는 기금형 방식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근로자가 매번 상품을 고를 필요 없이, 전문가가 장기·분산 투자 중심으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기금형 방식이 기대되는 이유

  • 장기 투자로 수익률을 더 기대할 수 있고
  • 개인의 금융 지식 차이에 따른 편차가 줄어들고
  • 자산 배분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기금형 전환을 포함한 퇴직연금 제도 개편을 단계적으로 논의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왜 지금이 중요한가?

퇴직연금 규모는 매년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 2024년 말 기준 : 432조 원
  • 2040년 예상 규모 : 1,172조 원

이 정도 규모라면, 개인이 일일이 판단해 운용하기엔 위험과 한계가 너무 크죠.
전문 운용으로 눈을 돌릴 필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남은 과제들도 있다

물론 제도만 바꾼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닙니다.
운용 손실이 났을 때 누가 책임을 질지, 투명한 구조가 마련될지, 근로자의 선택권은 어떻게 보장할지 등 세부 논의가 필요합니다.
기존 금융회사들과의 조정 문제도 남아 있습니다.


결    론

이번 논의는 단순한 정책 이야기가 아니라, 앞으로 우리의 노후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방향 전환입니다.
432조 원이라는 큰 자금을 개인이 책임지는 구조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바꾸려는 첫걸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