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술비도 테더로 낸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생활 속으로 확산
최근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영향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암호화폐는 투자의 성격이 강했지만,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법정화폐에 1:1로 연동되어 안정적인 가치를 가지며, 실제 결제·송금 수단으로 활용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해외 이슈] “수술비도 테더로 낸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생활 속으로 확산](https://blog.kakaocdn.net/dna/bJftq9/btsP7aebywT/AAAAAAAAAAAAAAAAAAAAANWAdUl5g6jTGIK_KWZxkxPtGyLAQhUPT-155tVyEzhe/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tNQZzP4H0YlirlR0H3sfimDt5qw%3D)
1. 스테이블코인이란?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유로,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 가치에 연동된 암호화폐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테더(USDT), USD코인(USDC), 다이(DAI) 등이 있으며, 가격 변동성이 적어 결제·송금에 적합합니다.
- 기존 비트코인·이더리움: 가격 변동이 커서 투자 중심
- 스테이블코인: 변동성을 최소화, 실제 생활 결제·송금에 활용
2. 해외에서 먼저 확산된 결제 사례
스테이블코인은 이미 해외 송금, 온라인 쇼핑, 학비 납부, 의료비 지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미국·유럽: 일부 온라인 상점, 병원, 학비 납부 가능
- 아르헨티나·터키: 인플레이션 문제로 달러 대체 수단으로 자리 잡음
- 글로벌 전자상거래: 해외 직구 시 카드 대신 스테이블코인 결제 확산
3. 한국, 10월부터 전용 단말기 도입
국내에서는 오는 10월부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 단말기가 시범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 변화는 해외 송금·결제 방식을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 해외 송금 수수료: 은행(5~10%) → 스테이블코인(0.1% 수준)
- 송금 소요 시간: 1~2일 → 1분 이내 처리
- 해외 결제 편의성: 환전 없이 달러 결제 가능
특히 외국인 근로자, 해외 유학생, 글로벌 프리랜서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기대됩니다.
4. 정부와 금융권의 시각
정부와 금융당국은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을 양면성으로 보고 있습니다.
- ✅ 장점: 송금·결제 비용 절감, 금융 접근성 확대,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 ⚠️ 위험: 자금세탁, 불법 해외 송금, 규제 사각지대
따라서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는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과 제도권 편입 여부를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5. 생활 속 변화 전망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본격화되면, 우리의 지갑 속 카드 대신 코인 지갑이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 병원 수술비, 학비, 여행 경비를 **테더(USDT)**로 낼 수 있음
- 해외 직구·구독 서비스 결제 간편화
- 프리랜서·수출입 기업들의 송금 비용 절감
결 론
스테이블코인은 이제 더 이상 “투자용 자산”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앞으로는 실생활에서 쓰는 새로운 디지털 화폐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수술비, 테더로 낼게요”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시대, 디지털 금융 혁신의 흐름이 우리 일상 가까이에 다가오고 있습니다.
'뉴스·이슈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부 발표] 클릭 몇 번이면 통신사 계약 해지… KTX 탑승 후에도 좌석 바꿀 수 있어 (1) | 2025.09.05 |
|---|---|
| [정부 발표] 스테이블코인 입법 추진… 40년 만에 ‘금산분리 원칙’ 재논의 (0) | 2025.09.03 |
| [정부 발표] 아동수당 연령 상향 & 농어촌 기본소득 신설, 20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6) | 2025.09.01 |
| [정부 발표] 9월부터 보이스피싱 번호 ‘10분 내 차단’ & 금융사 전액 배상제 도입 (8) | 2025.08.29 |
| [정부 발표] 청년안심주택 LTV 완화 & 보증금 보호 강화, 무엇이 달라지나? (2) | 2025.08.22 |
| [정부 발표] 5년간 492만 명 이용한 ‘비대면 진료’, 본격 제도화 논의 시작 (0) | 2025.08.20 |
| [정부 발표] 사망보험금, 55세부터 ‘연금형’으로 당겨받는다 (4) | 2025.08.15 |
| [정부 발표] 알바도 2년 일하면 ‘무기계약직’ 전환… 영세업계 반발 (10) | 2025.08.13 |